[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삼각함수에서 발견한 삶의 진실(2)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삼각함수에서 발견한 삶의 진실(2)

2019. 10. 21. 08:474차 산업혁명

출처 : 뉴스핌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913000022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삼각함수에서 발견한 삶의 진실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삼각함수에서 발견한 삶의 진실
www.newspim.com

 
삼각함수도, 인생도, 오르막길 있으면 내리막길 있다
sin(x), cos(x) 로 표현되는 삼각함수는 여러 가지 아름다운 특징이 있다. 일단 올라가면 반드시 내려온다. 우리 인생도 비슷하다. 인생이 현재 아주 성공적이고 만족스럽다 하더라도 언젠가는 어려운 점이 있으면서 다시 상승세가 꺾이고 내려오게 된다. 잘 나갈 때 조심하라는 말도 같다.
거꾸로 현재 인생이 바닥이라 하더라도 언젠가는 다시 올라가게 된다. 삼각함수 sin(90도) 일 때 '1' 로 최대가 되고 sin(270도) 일 때 '-1' 로 최저가 된다. 시간에 따라 최대값과 최소값을 반복한다. 본인도 어떤 날 일이 정말 잘 풀릴 때가 있다. 그런 경우 다음날 어려운 일을 겪을 것을 감안한다. 그러면 너무 들뜨지도 않고 너무 우울해 지지 않게 된다. 인생을 삼각함수로 표현하면 주기를 갖고 오르내리게 된다.
삼각함수의 교훈은 현재 값보다 미분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현재의 값보다는 오히려 기울기가 중요하다. 기울기인 미분이 더 중요하다. sin(x) 보다 미분인 cox(x) 를 유심히 보자. 함수의 기울기가 '0'보다 큰 양의 구간이 행복한 기간이 된다. 기울기가 '0'보다 작은 음의 기울기인 구간은 열심히 해서 기울기를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다른 삼각함수의 가르침은 삼각함수를 시간을 충분히 갖고 적분하면 모두 상쇄되어 합이 “0” 이 된다는 사실이다. 양인 영역과 음인 영역의 면적이 같다. 결국 인생에서도 즐거움과 괴로움의 총 합은 같지 않을까. 그러면 욕망, 애착, 애증 등 미 떨쳐 버릴 수 있다. 인생도 빈손으로 왔다가는 인생인데, 삼각함수가 이를 표현하고 있지 않은가. 자연과 인생을 이렇게 완벽하게 표현한
 
이 글을 주의 깊게 읽어보면 언제가 배운 피타고라스(만물의 근원은 수이다) 정의, 사인 코사인 함수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77090


피타고라스
피타고라스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철학자로서 유명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발견하였다. 그가 이탈리아 남부 크로톤에 설립한 ‘피타고라스’학파는 수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피
100.daum.net

이 것이 왜 필요한지 몰랐는데 지금 보니 지금까지 내 인생에는 필요없었을 수 도 있었겠지만
앞으로 삶과, 가족들의 미래 교육에 필요한 것 일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결국 인생에서도 즐거움과 괴로움의 총 합은 같지 않을까? 라는 말씀은
지금 뭔간 부족함을 느끼는 사람에게는 긍정의 말로, 지금 풍족함을 느끼는 사람에게는....아니구나
조심을 부를 수 도 있겠구나!
 
 
읽어볼 수 록 재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