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50)
-
데이터 걱정없는 원격교육!
가족이 00일 휴가내야한다고 합니다 애들 원격교육 시작하는 날이라 좀 봐줘야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정부정책 찾아보니 데니터 무상지원 한다고 여기저기 발표자료들이 있는것들을 확인해봤습니다 중학생이야 걱정이 없는데 초든학생은 좀 걱정이 되긴 합니다 그래도 뭐 이런것도 과학기술 발전 때문에 가능한거라고 생각하면 그리 나쁘진 않은 것 같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정부보도)------------스마트 기기·데이터 요금 걱정없는 원격교육 환경 구축 총력 EBS 사이트 데이터 소진없이 제공…스마트 기기 31만6000대 저소득층 학생에 무상 대여 교육부·과기정통부 적극 협력…“미래형 교육모형·원격교육 솔루션 기업 성장 계기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2020.04.01 (출처 : http://m.korea.kr/news..
2020.04.02 -
2020년 10대 전략기술 동향(가트너)
가트너? 가트너 주식회사(Gartner, Inc.)는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이다. 본사는 미국 코네티컷주 스탬퍼드에 위치해 있다. 2001년까지 가트너 그룹(The Gartner Group)으로 불렸다. 가트너의 고객은 정부기관 및 IT 기업, 투자 회사 등 다양하다. 1979년에 설립되어 5,700여 명의 종업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이 중 1,435명이 리서치 애널리스트 및 컨설턴트 인력이다. 세계 85개국에 12,400여 개의 고객을 두고 있다. 가트너에서는 매년 다음해를 예측하는 정보들을 공개한다 다음은 20년 10대 전략기술 동향이다 2019 년 10 월 21 일 기고자 : Kasey Panetta 하이퍼 자동화, 블록 체인, AI 보안, 분산 클라우드 및 자율적 인 것들이 올해의 ..
2020.03.23 -
스마트 더스트(IOT Smart Dust)
스마트 더스트가 뭐지?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를 통해서 찾아봤습니다 가트너”사 1979년 세워진 미국의 정보기술 자문회사입니다. 쉽게 말하면 IT 컨설팅 회사. 하지만, 시장조사, 연구조사를 열심히 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인지도가 높은 회사입니다. “Hype Cycle” 가트너사가 처음 만든 개념입니다. “Hype” 란 “과장되거나 부풀려진 어떤 것”을 말합니다. Hype Cycle이란 직역하면 “과장 곡선” 정도가 됩니다. 내용은 기술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어떻게 변하는지 “경험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스마트 더스트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사진입니다13 17 18년 초입에 보면 스마트 더스트가 보입니다 아직 먼 미래의 기술입니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더스트에 관련된 기사들이 보이기 시작합니..
2020.03.17 -
천리안 위성 발사? 나만 몰랐음!
천리안 위성 발사된거 나만 몰랐나? 2.19일! 코로나의 영향인가? 남아메리카에서 발사했구나 뭐 우리가 직접 발사한건 아니니 큰 의미는 없을 수도 얘들 역할도 나오네 그래도 위성보유국!
2020.02.29 -
코로나 관련 ICT 정책 기술 동향
코로나 관련 ICT 동향(과학기술통신부) 과학기술통신부 사이트에 과학기술 ICT 정책 기술 동향이 업데이트 됩니다 참 중국과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인데 이해관계가 복잡합니다 흑백만 있는 것 같습니다 알아야 비판도 할 수 있습니다 2.14일자에는 코로나 관련 정보가 반영되어있습니다 언론보도 자료를 정리하고나서 중국의 반도체 굴기 지연 중국은 우리나라 최대 반도체 수출국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중국 화훼이 비보등 주요한 업체에 메모리 반도체 통신칩 이미지센서를 공급한다는데... 아 주식도 그런 영향을 받는구나! 세계 스마트폰 출고감소 부품조달 문제는 벌써 생겼으니 중국 공장이 티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중국에 공장을 만들때는 고민을 많아 해야할듯 재고관리가 중요할듯 그럼데 삼성은 그 많은 노트북 안팔리면 ..
2020.02.29 -
수소연료전지는 배터리인가?
연료전지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자1960년대 우주선에 쓰였다는데그때는 화석연료의 고갈을 예상하지 못하고 환경오염에도 관심이 없었을 것 같긴한데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가 맡는 말인데 말 그대로 연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만들어내는 장치로서, '3차 전지'라고도 부른다. 연료나 재질에 따라 PEMFC[1], SOFC[2], MCFC[3]등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연료를 태워서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 연료의 화학반응에서 직접 전기를 얻는다. 가장 기초적인 형태의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만들어지는 반응을 사용한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물을 전기분해하면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되고 음극에서는 수소가 생성되는데, 이 과정을 완전히 거꾸로 진행시킨다고 보면 된다. 메탄..
2020.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