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가치란 무엇인가?(KPMG)
사회적 가치란 무엇인가?
https://assets.kpmg/content/dam/kpmg/kr/pdf/2019/im-i4.0-social-value-creation-20190513.pdf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 사회적 통합, 사회적 경제, 사회적 책임 등 ‘사회적’이라는 접두어를 붙인 정책들이 주요 어젠다로 주목을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수립한 100대 핵심 국정 과제 중 다수는 사회적 가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공공기관의 경영평가나 정부 및 유관기관의 공공조달, 예상편성 과정에서도 인권, 안전, 사회적 약자 배려, 기업 간 상생협력과 같은 사회적 가치가 고려되고 있다.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사회적 가치의 범위를 어디까지 봐야 할 것인지, 사회적 이동, 사회 신뢰도, 시민의 자유와 같은 비물질적인 사회적 자본을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회적 가치란, 사회, 경제, 환경,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개인이 아닌 지속가능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한다. 한국행정학회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평가방안 연구(2017)’에서는 사회적 가치가 4가지의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있다.
첫째는 공공성으로, 공개적이고 공통의 관심사를 형성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유동성으로, 사회를 구성하는 주체 및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사회적 가치 또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는 다양성으로, 다양성이 인정된 사회적 합의체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가치가 발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은 협의성으로, 사회적 가치들이 서로 상충할 때, 이를 조정하고 협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정의와 특성만으로는 모호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 한국행정학회는 총 12개의 사회적 가치 구성요소로 세분화하였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구성요소로는 인권의 보호, 안전, 건강복지, 노동권 보장,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적 약자 배려, 대기업·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공동체 복원, 지역 경제 활성화, 책임·윤리 경영, 환경 보호, 참여를 통한 민주주의 실현을 들 수 있다.